거시경제학은 전체적인 경제흐름을 표현하다. 각각의 경제주체인 가계, 기업, 정부의 모든 상호작용을 집계하고 통계한다. 이들의 움직임과 산업은 서로 다르지만 서로 유기적으로 움직인다. 정책에 따라 기업이 흔들릴 수도 있고, 가계가 주춤할 수도 있다. 기업의 영향은 가계에 1차적으로 영향을 준다. 이러한 연관되는 흐름을 전체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이 거시경제이다.
거시경제학이란
국가 사회 전체의 경제 현상을 분석하는 학문
거시경제학은 한 국가의 전체적인 경제 현상을 분석한다.
경제활동을 하는 개별주체들의 상호작호를 전체적인 집계와 합계치로 분석하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국민소득, 물가, 실업, 환률, 국제수지 등의 사회 전반적인 것을 통틀어서 보게 된다.
나무를 보기 전에 숲을 보는 학문이기도 하다.
거시경제의 용어
거시경제학은 한자로는 巨視經濟學 영어로는 MacroEconomics 이다.
뜻을 풀이하면 크게 보는 경제학정도가 된다.
숲을 보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미시경제에서 다루는 각각의 개별적인 경제주체들은 서로 상호작용을 하면서 집계치를 만들고 통계치를 만든다.
이런 수치들이 모이면 전체적인 흐름을 볼 수 있는데 이 흐름을 분석하고 정리하는 것이 거시경제학이기도 하다.
경제의 흐름
거시경제는 국민소득과 물가, 실업률 등 국가의 전반적인 통계치를 알 수 있기도 하다.
경제의 흐름을 파악할 수도 있고 국민총생산인 GDP 와 연관이 있다.
미시경제의 단편적인 조각들을 모아 거시경제로 표현할 수 있다.
단기적인 측면과 장기적인 측면에서 분석을 하기도 하는데
단기적인 경우 보통 실업률과 관련이 깊고, 장기적인 경우 국민소득의 변화치를 알 수 있기도 하다.
이런 연관성 때문에 경기변동이론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거시경제의 목표
거시경제가 목표로 하는 3가지가 있다.
경제성장, 완전고용, 물가안정 등이 그것이다.
경제와 경기의 흐름을 파악하는 중요하며, 각 개별적인 산업군들은 서로 연관이 된다.
주식시장에서 보통 그 흐름이 파악이 된다.
우리나라의 경제가 흔들리는 것들 중 하나는 유가이기도 하다.
반도체와 자동차 분야의 연관성도 이에 한몫한다.
각각의 개별주체는 서로 다르지만, 연관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총합하면 각 산업마다 그 영향과 관련성을 살펴볼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다.
'망블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시경제와 거시경제의 차이 숲을 볼까 나무를 볼까 (0) | 2022.02.14 |
---|---|
폐기물 스티커 구입처 가격 파는 곳 찾기 (0) | 2022.02.14 |
sos 모스부호 뜻 인식이 쉽고 간결한 구조신호 (0) | 2022.02.07 |
미시경제학이란 개인과 기업의 경제행위를 분석하는 학문 (0) | 2022.02.05 |
중국 3불정책이란 경제협력에 따른 대중국 정책 (0) | 2022.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