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망블스

우리나라 한국 3대 정원 소쇄원 세연정 서석지

by ㅁㅜㅅㅣㄱㅈㅐㅇㅣ 2023. 2. 22.
반응형

정원하면 작은 연못 그리고 잔디 푸른 하늘 넓은 마당이 생각난다. 우리나라 3대 정원은 조선시대에 조성된 정원 중 하나로 하나의 정자, 연못 그리고 푸른 나무로 조성된 공원이다. 자연 그대로의 모습에 인공적인 건축물을 조화시키고자 하는 사상이 공통적으로 남아 있다. 사진을 보면 거의 비슷비슷 하지만 당시 선비정신과 함께 성리학과 같은 교리에 근거하여 조성된 점 또한 특징이다.

우리나라 한국 3대 정원
소쇄원 세연정 서석지

뉴스나 드라마를 보면 뜰이나 정원이 있고 마당이 있는 집이 부러울 때가 있다.

뛰어놀 수 있고, 망중한을 즐길 수 있으며 강아지와 함께 할 수 있다.

친척집에 가보면 크진 않지만 적당한 크기의 정원이 있다. 물론, 시골이라 가능하지만 도심지라면 부럽다.

이런 정원을 만드는 이유야 딱딱한 분위기를 해소하고 휴식의 공간 등의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지금과 같이 아파트가 즐비한 도심지라면 정원이 있는 곳을 한번쯤 찾아 분위기를 바꿔보는 것도 추천한다.

우리나라부터 찾아보자

힐링이 목적이든 휴식이 목적이든 경치 좋은 정원을 찾아 일삼아 가보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정원이 어떤 것일까 생각하면 그것 맞다.

산림이 있고, 개울도 있고, 간단히 쉴 수 있는 장소도 있다. 초록빛과 하늘빛은 기분을 상쾌하게 한다.

우리나라의 3대정원을 찾아보면 공통점이 있다. 정자가 있고, 앞에는 물이 있으며 주변은 나무를 심어 상쾌한 경관을 준다.

아래는 우리나라 한국의 3대 정원으로 알려진 곳 3군데이다.

  • 소쇄원 / 전라남도 담양군
  • 세연정 / 전라남도 완도군
  • 서석지 / 경상북도 영양군

아~ 멀다~ㅋ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3대 정원이라 하지만, 가고 싶어도 정말로 시간을 내야 갈 수 있는 거리에 있다.

이 중엔 민가정원으로 속한 곳도 있으며, 문화재로 보호받고 있는 곳들이기도 하다.

역사적인 공통점이 있다면, 유배를 가거나, 낙향하거나 등 어쨌든 품고 있던 뜻을 버리고 고향으로 가다가 경치가 좋아 눌러앉아 정원을 조성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하나가 더 있다면 자연 경관의 모습을 최대한 해치지 않으면서 인공적인 건축물을 짓고 조화를 꾀하고자 했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음~ 자연경관은 사나이의 큰 뜻을 사그라들게 하는 모양이다.

뭐 어쨌든 그렇다.

위에서 언급한 우리나라 3대 정원도 마찬가지 사적을 찾아보면 이해가 된다.

소쇄원

전라남도 담양군

조선 중기에 조성되었으며 자연과 인공을 조화시킨 대표적인 정원 중 하나

조선시대 선비의 품성과 절의가 엿보이는 정원으로 평가된다.

정암 조광조가 유배된 후 제자인 양산보가 세상의 뜻을 버리고 낙향하여 조성하였다.

세연정

전라남도 완도군

조선 중기 문신 고산 윤선도는 병자호란 당시 왕이 항복했다는 소식에 울분을 참지 못하고 제주도로 향하게 된다. 도중에 전라남도 보길도의 경치에 매료되어 세연정을 조성하고 그곳에 정착하였다.

자연과 인공의 조화를 겸하고 있는 정원이다.

서석지

경상북도 영양군

광해군 5년해인 조선시대 정영방이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고 은둔생활을 하며 조성한 공원

대표적인 조선시대 민가 정원으로 연못과 정자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 그대로의 것을 추구하고 자연스러운 인공물을 구성하며 이상적인 조화를 이루고자 했다.

가까운 곳을 찾아보자.

가고 싶지만 정말로 시간을 내야 하는 위치에 있다.

소쇄원과 세연정은 전라도에 서석지는 경상도에 있다.

지역 사람들이야 한번쯤 방문했을 거라 보지만 수도권에 있는 분들은 여행이 된다.

하지만, 대체재는 언제나 존재하는 법이다.

우리나라 3대 정원은 나중으로 미루더라도 비슷한 곳을 찾아보면 어떨까 싶다.

아래는 상대적으로 방문하기 괜찮은 곳들이다.

  • 성모마리아정원 / 경기 포천
  • 매홀두레마을정원 / 경기 오산
  • 세마아트마을정원 / 경기 오산
  • 오소정원 / 서울 성동구
  • 밤고지마을정원 / 경기 파주
  • 경복궁 경회루, 향원정 / 서울 종로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