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망블스

국회 표결 결과 가결과 부결의 뜻 투표를 진행하고 찬성과 반대를 선택한다.

by ㅁㅜㅅㅣㄱㅈㅐㅇㅣ 2023. 3. 2.
반응형

국회는 안건이나 의제를 정할 때 투표를 하고 국회의원은 찬성과 반대를 선택한다. 표결은 투표를 진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가결은 찬성표가 많아 통과되는 것을, 부결은 반대표가 많다 통과되지 못한 것을 의미한다. 국회에서 진행되는 모든 안건과 의제들은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가결과 부결에 대한 결과로 찬성, 반대, 기권, 무효에 대한 정보도 볼 수 있다.

국회 표결 결과 가결과 부결의 뜻
투표를 진행하고 찬성과 반대를 선택한다.

국회는 옛날부터 지금까지 매일 시끄럽지만, 그럼에도 표결이란 제도를 통해 의제와 안건을 결정한다.

표결은 의제와 안건에 대한 찬성과 반대를 하는 투표방식이다.

국회에서 투표를 하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표결에 따라 가결과 부결로 이어진다.

어떤 안건이나 의제가 국회에 제출되고 투표를 진행하는 것을 표결이라 하고, 찬성표가 많다면 가결, 반대표가 많다면 부결로 이어진다.

표결 가결 부결 무슨 뜻

단어부터 찾아보자. 뉴스 등을 보면 국회에서 어떤 안건에 대해 가결되었다 또는 부결되었다 하는 소식을 볼 수 있다.

느낌상으로 알고 있긴 하지만, 정확한 뜻은 난해하다.

어차피 찬성표와 반대표에 대한 수치도 같이 보여주기 때문에 투표의 결과는 알 수 있다.

만약, 찬성표와 반대표에 대한 수치가 표시되지 않는다면 가결과 부결이란 단어 때문에 혼란스러울 수도 있을 것이다.

사전적의미를 찾아보자.

  • 표결 / 表決
    表 겉 표, 決 결단할 결
    회의에 나온 어떤 안건의 찬성과 반대 의사를 표시하여 결정하는 것.
    투표를 하여 결정하는 것.
  • 가결 / 可決
    可 옳을 가, 決 결단할 결
    회의에서 제출된 의안에 대해 찬성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
    의회에서 정책 또는 안건이 의결정족수의 찬성에 의하여 통과되는 것
  • 부결 / 否決
    否 아닐 부 決 결단할 결
    의논한 안건을 받아들이지 아니하기로 결정하거나, 의결정족수 만큼의 찬성을 얻지 못한 것
    찬성보다 반대가 많은 경우

모든 안건에 대해 언론과 테레비에 나오는 것은 아니지만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는 안건은 기사화되고 표결 당일에는 주목을 받고 실시간으로 방송을 한다.

이런 것으로 볼 때 표결은 어떤 안건에 대한 투표하는 방식을 말하고, 찬성표가 많다면 가결, 반대표가 많다면 부결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가결과 부결의 요인

단어는 어려운 한자어이긴 하지만 굳이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지 않아도 문맥적으로 이해는 된다.

위의 내용이 길어보이지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결은 투표이고, 가결은 찬성표가 많은 것이고, 부결은 반대표가 많은 것이다.

그럼 이런 요소를 결정하는 요인들이 있을 것이다.

당연한 얘기겠지만, 가결과 부결의 결정요인인 당연히 찬성표 겠지만, 다른 요인은 기권과 무효가 있다.

국회의원들도 모든 안건에 대해 투표를 하거나 하더라도 대충 하거나 또는 참여하지 않는 경우들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확실하게 찬성표와 반대료를 기재하면 되지만, 그럼에도 기권과 무효표가 존재한다.

기권과 무효는 당연히 투표의 결과로써 제외된다.

기권은 안건에 참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무효는 투표는 했지만, 결과로써 인정받지 않는 못하는 표를 말한다.

표결 결과 보러 가기

우리나라는 전체 인구의 거의 대다수가 정치에 관심이 많다.

정당이나 정책에 대해 극단적으로 가긴 하지만, 정치에 전혀 관심없는 일본보다는 낫다고 보는 이들도 있다.

국회에서 진행되는 모든 법안이나 안건 그리고 의제들은 투표를 거치게 되고 찬성표가 많다면 정책으로써 자리잡게 된다.

국회 표결 결과는 국회 홈페이지에서 직접 확인해 볼 수 있는데 구글이나 네이버 등의 국회 표결 결과로 검색하면 바로 결과 페이지로 이동한다.

대한민국국회

대한민국국회

www.assembly.go.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