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망블스

귀여운 강아지 시고르자브종 뜻과 영어

by ㅁㅜㅅㅣㄱㅈㅐㅇㅣ 2022. 10. 30.
반응형

강아지를 칭하는 단어 중 시고르자브종이 있다. 영어로는 sigorjavjong, 자세히 보면 시골잡종이다. 시골에 있는 특정 2개체가 섞인 견종을 지칭하는 말로써 강아지들 중 역변이 심하기도 하다. 강아지 상태일 때는 부모가 어떤 견종인지 모를 수도 있지만, 성견으로 커가면서 부모견의 특색이 보이고 살아나는 것도 특징이다.

시고르자브종

귀여운 강아지 시고르자브종 뜻 영어
어떤 견종인가?

동물관련 영상이나 강아지 관련한 문서들을 검색하면 항상 나오는 것이 있다.

시고르자브종이다.

왠만 견종은 알지만 시고르자브종은 또 처음 듣는 말이다.

영어이기도 하고, 일본어인가? 싶기도 하다.

정작 실체를 알고나면 어처구니없는 것을 발견한다.

시고르자브종은 시골잡종의 변형된 말로 한글의 받침이 일본식으로 된 것인지 아니면 영어로 표기하고 유럽식으로 읽어서 그런건지 출처는 알 수 없지만 일단 정체성에서 업그레이드된 느낌을 받는다.

시골잡종 똥개로 치부되던 강아지들이 시고르자브종이란 칭호를 받으며 신분상승한 느낌이다.

시골에 있는 강아지들

시골에 가면 집집마다 한마리 이상의 강아지가 있다.

겁이 많아 하루종일 짓기만 하는 아이들도 있고, 마냥 사람이 좋아 쫓아 다니는 아이들도 있다.

지금은 시골의 강아지들도 대우를 받는 수준이 달라졌지만, 과거에는 그렇지 않았다.

사람이 먹고 남은 짬밥으로 사료를 대신하고 목욕은 커녕 만지기만 하면 먼지가 풀풀 날렸다.

이렇듯 시골의 강아지들은 시골잡종으로 치부되고, 똥개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다른집에 팔려갈 때면 빨간색 대야에 담겨 싸게 싸게 넘겨졌다.

시간이 지나고 강아지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늘었다고 해야 할까.

시고르자브종 시골에서 품격을 논하다

어떤 영향이 있었는지 구체적인 이유는 모른다.

시골잡종, 똥개가 아닌 시고르자브종이란 새로운 견종의 지평을 열었다.

짬밥 대신 강아지 전용 사료를 이용하고, 목욕도 하고, 공기 좋은 시골에서 산책을 한다.

같은 대우를 받아도 환경적으로 시골의 강아지들이 더 좋을 수도.

시골이라 해도 실내에서 생활한다.

시고르자브종은 시골잡종의 받침글자를 늘려 쓴 글자이다.

즉, 시고르자브종이란 글자는 시골잡종을 뜻하며 우리나라 똥개를 지칭하는 단어이기도 하다.

기출변형으로 받침하나 옮겼을 뿐이지만 분위기나 느낌상으로는 뭔가 신분상승의 기운이 느껴진다.

SNS에는 시고르자브종의 사진이 꾸준히 올라오고 유튜브에는 역변한 시골 강아지들의 관찰 영상이 올라온다.

성격 좋아 사람을 따르고, 깨끗하고 건강하게 지낸다.

시고르자브종을 영어로 하면 Sigor-jav-jong 이것을 또 풀어쓰면 다음과 같다.

Sigor-jav-jong is countrySide mixed breed ones.

역변의 시기

시고르자브종의 특징이라면 뭐랄까. 말 그대로 잡종견으로 2개 이상의 견종이 섞인 강아지들이다.

어떤 강아지와 어떻게 맺어졌는지 모르는 그런 강아지들이기에 역변이 자주 발생한다.

시고르자브종의 대표라면 진도견 믹스가 가장 많고 소형견의 경우 정체를 알 수 없다.

다만, 시간이 지날수록 특성이 뚜렷해지기도 하는데 역변의 상징으로 남게 된다.

강아지일 때는 털의 색깔이나 모양이 다를 뿐 두리뭉실한 얼굴형태나 쳐진 귀, 통통한 몸은 이 강아지가 저 강아지 같다.

시간이 지나면서 강아지들은 성견으로 자라고 부모가 어떤 강아지 였는지 특색이 뚜렷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 시기에 역변의 시기를 거치게 된다.

역변이란 급격하게 변하는 현상이나 모순적인 논리 등이 나타날 때를 말하는데 시고르자브종 강아지들에게 이런 일은 비일비재하다.

어릴 때는 그저 못생긴 작은 강아지였지만, 성견으로 커가면서 간지가 살아나고 멋있어지거나 더더욱 귀여워진다.

반대의 경우들도 있지만, 예쁜 건 어디가지 않는다.

반응형

댓글